도시의 건물을 촬영해보셨나요. 그럼 그 다음으로는 거리로 나가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빛을 담을 차례입니다. 분주하게 오가는 사람들, 개개인의 이미지 역시 도시사진의 대표적 이미지 입니다. 일상적인 풍경이라고 하죠. 낮에 촬영을 할 경우 햇빛은 거의 모든 피사체에 좋은 조명이 됩니다. 그러나 높이가 다른 건물들로 인한 그림자 처리가 문제가 될 수도 있죠. 벽이나 아스팔트에 빛이 반짝일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데이트 스냅이나 거리풍경을 담을 때는 해가 누운 늦은 오후에 많이 촬영합니다. 역광사진의 경우 시간대만 잘 맞으면 굉장히 매력적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해의 높이에 따른 조명처리는 반사판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늘진 곳으로 피사체를 옮기고 내리쬐는 빛을 반사판을 이용해 담을 수 있습니다. 자연스러운 사진에서는 반사판이 아닌 자연 속 채광 그대로 사용하겠지만, 모델의 경우는 반사판을 이용한 은은한 빛 처리가 좋습니다. 내리쬐는 역광속에서 얼굴의 그림자를 없애기 위해 스토로브를 사용하는 것 역시 방법입니다.
밤의 거리풍경은 낮과는 전혀 다른 매력적인 피사체입니다.
저녁의 도심지는 도시생활 촬영에서 가장 좋은 시간대입니다. 대부분 유흥가나 상점이 밀집된 지역의 네온 불빛을 이용하죠. 광고판이나 간판에서 나오는 네온빛이 도심의 차량 헤드라이트라 어울려 한 폭의 수채화를 주기도 합니다. 저녁의 거리풍경은 사람들의 활동과 조명의 생동감을 모두 과장되어 표현됩니다. 그래서 더 역동적인 모습을 담아 빛을 강조하기도 하죠. 저녁에는 망원렌즈로 촬영할 때 그 매력이 돋보입니다. 이는 빛을 모아서 집중시켜주기 때문이죠. 망원으로 담은 피사체는 배경과의 분리, 그리고 화각의 몰입감으로 인해 집중하기 좋습니다. 이는 인물사진에도 적용됩니다. 광각렌즈는 불빛과 불빛 사이의 원금감을 과장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역동감을 줄어들고 있는 그대로의 풍경을 담아주죠. 광각렌즈의 왜곡감을 이용한다면 역동감을 주기도 합니다. 야경사진은 저속셔터를 이용한 장노출 사진이 많습니다. 이는 빛을 모아서 담는것인데, 삼각대는 필수입니다. 이건 개인적인 팁이지만 저는 야경을 촬영할 때 조리개는 7이상으로 놓습니다. 초점을 떠나 빛을 모아주는 빛갈라짐이 좋아서죠. 너무 많은 갈라짐이나 너무 퍼지는 빛보다 적절하게 갈라진 빛이 보기 좋았습니다. 이미지에 역동적인 느낌을 주는 방법하나는, 장 노출에서 카메라를 움직이는 것입니다. 빛이 렌즈에 모두 담겨 원 피사체는 알아보기 힘들지만,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형형색색의 네온불빛이 마구 춤을 추는 그런 축제 같은 사진을 담을 수도 있습니다.
'사진영상 > 사진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메라 색온도, 촬영시 주의사항 입니다. (0) | 2017.05.19 |
---|---|
스냅사진과 상업사진, 그리고 초보작가의 한풀이 (0) | 2017.05.18 |
정물사진 촬영하기 개념편입니다. (0) | 2017.05.04 |
나에게 맞는 카메라장비 고르기 입니다. (0) | 2017.05.03 |
니콘의 초광각 렌즈. 14-24 F2.8G 후기입니다. (0) | 2017.04.30 |